분류 전체보기
https://www.scaleway.com/en/docs/how-to-install-hadoop-standalone-on-ubuntu/ How to Configure Hadoop on Ubuntu Xenial This page details how to install and configure Hadoop www.scaleway.com Which http://www.incodom.kr/%ED%95%98%EB%91%A1%ED%94%84%EB%A1%9C%EA%B7%B8%EB%9E%98%EB%B0%8D#h_70e932597c4b9e6a7bfcb89e3f8acb6e https://m.blog.naver.com/PostView.naver?isHttpsRedirect=true&blogId=twilight_teati..
·공부
본격적으로 가변 그리드 배우기 가변 그리드가 공식이 있는 기술이구나... 정해져 있는 공식에 의해 정확한 가변 크기의 박스를 만드는 기술 (가변 크기로 만들 박스의 width / 가변 크기로 만들 박스를 감싸고 있는 박스의 가로 width)x100 ㄴ> 패딩값 적용할땐 패딩값 빼기 inline-block : inline속성값처럼 요소들이 한줄로 보이고 block 태그에 적용할 수 있는 속성도 사용할 수 있는 속성값 가변 마진과 가변 패딩 이해하기 반응형 웹에서는 "모든 요소가 가변적" → 당근 간격도 가변적이어야!! 가변 마진 적용 (가변 마진을 적용할 마진 값 / 적용할 박스를 감싸고 있는 박스의 가로 너비) X 100 가변 패딩 적용 (가변 패딩을 적용할 패딩값 / 적용할 박스를 감싸고 있는 박스의 ..
·공부
Ch01. 반응형 웹 기본 개념 이해하기 반응형 웹사이트 모음 : https://mediaqueri.es/ , https://www.bostonglobe.com/ 반응형 웹으로 만들면 좋은 점 : 유지보수 간단, 모바일 점유율 증가, 마케팅 유리, 검색엔진최적화(SEO,Search Engine Optimize) 호스팅 서버 : 인터넷 속 저장 공간 (www.dothome.co.kr) 인터넷을 통해 이 호스팅 공간과 내 컴퓨터가 연결됨 FTP 프로그램 : 호스팅 서버나 웹 서버에 파일을 자유자재로 올기기 위해 이용 (fileZilla,Client 다운) 반응형 웹 제작에 필요한 네가지 기본 개념 가변 그리드 : 픽셀(px)대신 퍼센트(%)로 제작하는 기술 px→%로 바꾼다해서 반응형 웹 되는게 아님! 가변..
- 저장소를 만들고 싶은 디렉터리로 이동 후 깃 초기화 => 해당 디렉터리에 있는 파일들 버전관리가능 작업 트리: (=작업 디렉터리,working directory) 파일을 수정하고 저장하는 등 작업을 하는 디렉터리, 우리 눈에 보이는 디렉터리 스테이지 : 버전 관리를 하고싶은 파일을 임시저장해놓는 곳 (=스테이징 영역) 버전으로 만들 파일이 대기하는 곳 저장소 :스테이지에 있는 것을을 버전 관리 하도록 저장하는 곳? 버전으로 만들어 저장하는 곳 untracked files : 아직 한번도 버전 관리하지 않은 파일

·공부
깃 핵심기능 버전관리 백업 협업 깃 환경설정하기 - 사용자 정보 git config --global user.name git config --gloabal user.email 처음에 git config --list로 확인 했을 때 user.name, user.email 뜨지 않음 추가하고 난 후 확인했을때 이후에 C:\Users\ㅇㅇㅇㅇㅇ(= 홈디렉터리)에 .gitconfig 파일 추가됨 해당 파일을 들어가보면 아래와 같이 나와있음 [user] name = 내가 설정한 이름 emial = 내가 설정한 이메일 나옴 이 후 참고자료 : gitconfig재설정(https://jieunyi.tistory.com/6) 🌞분명히 1회독 할 때 사용자정보 설정을 했을텐데 git config --list했을 때 안보였..